-
반응형
오늘은 지난번 다룬 세계유산이 등재 후
어떻게 보호되고 관리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은 위원회가 언제라도 수정할 수 있는 유연한 실무 문서로 협약이행의 세부적인 기초•「운영지침」은 다음의 사항에 대한 절차 규정- 세계유산목록 및 위험에 처한 유산 목록 등재, 세계유산지역의 보호와 보존, 세계유산기금 하에서의 국제 원조 승인, 협약에 우호적인 국내 및 국제 지원 체제 구축*총 9장 290개 paragraph 및 부록으로 구성(위원회의 결정사항들을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개정)
세계유산 운영기구
•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센터를 통해서 각국의 세계유산잠정목록을 제출받아서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ICOMOS;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 문화유산 분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 자연유산 분야), 국제문화재보존복원센터(ICCROM;International Centre for the Study of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y / 문화재 보존과 복원 분야)의 평가를 거쳐 세계유산위원회(WHC; World Heritage Committee)에서 세계유산 등재를 심의한다.• 세계유산센터
: 협약 제14조 1항은 세계유산위원회가 사무국의 도움을 받도록 정하고 있다. 1975년부터 1992년까지 사무국은 유네스코 내 두개의 서로 다른 부분, 즉 과학 부문(자연유산)과 문화부분(문화유산)에 의존했다. 이 때문에 협약 이행을 위한 조정 역할이 어렵게 되어 위원회의 사무국 역할을 하는 세계유산센터가 설립되었다.
보호 및 관리
문화유산은 진정성(운영지침 79항)이 확보되어야 하고, 세계유산은 공통적으로 완전성(운영지침 87항)이 확보되어야 하며, 유산의 보호 및 관리체계(운영지침 78항)를 갖추어야 한다.
운영지침 96항에 따르면, 세계유산의 보호와 관리는 등재 당시의 완전성 및 진정성의 조건을 포함해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속하거나 점차 향상하도록 해야 한다. 유산의 전반적인 보존상태, 즉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운영지침에 명시된 세계유산 모니터링 과정의 틀 안에서 정기적인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운영지침 98항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 차원의 법률과 규제 대책은 완전성 및 진정성을 포함해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그밖의 압력이나 변화로부터 해당 유산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당사국은 또한 그러한 대책의 전면적, 효과적인 실행을 보장해야 한다.
세계유산 관리기구(대한민국 예시)
•불국사․석굴암: 경상북도/ 경주시(문화재과) - 사찰, 경상관리•해인사 장경판전: 경상남도/ 합천군(문화공보과) - 사찰, 경상관리•종묘: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창덕궁: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화성: 경기도/ 수원시(화성사업소, 수원문화재단)•경주역사유적지구: 경상북도/ 경주시(문화재과, 왕경조성과, 사적공원관리소, 국립공원사무소 등)•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전북, 전남, 인천/ 고창, 화순,강화군(문화관광과) - 고인돌 박물관(고창)•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세계자연유산센터) 세계유산문화재부, 한라산연구부,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편제. 연구, 용암동굴관리, 국립공원 운영 등 총괄관리시스템 구축•조선왕릉: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궁능문화재과) 궁능관리소-궁능관리소는 경상관리 위주•한국의 민속마을(하회마을, 양동마을): 경상북도/ 안동시(하회마을 관리사무소) 경주시(문화재과)•남한산성: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백제역사유적지구: 충남, 전북/ 공주, 부여군, 익산, (재)백제세계유산센터•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충남, 충북, 경북, 경남, 전남/ 공주, 보은군, 안동, 영주, 양산, 해남군, 순천, 산사등재추진위원회•한국의 서원: 대구,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달성군, 논산, 안동, 경주, 함양군, 정읍, 장성군, (재)한국의서원통합보존관리단>>> 현재 우리나라의 세계유산 관리방식은 중앙관리(창덕궁, 종묘, 조선왕릉), 지방위임(불국사∙석굴암, 해인사 장경판전, 수원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한국의 민속마을), 통합관리(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세계유산센터명칭 사용, 산사-추진위, 서원-관리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재청은 세계유산 보존관리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책 방향 수립, 유네스코 등 대외협력을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실제 세계유산의 보존관리, 교육홍보, 관광자원화 등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해야 한다.
다만, 지자체가 세계유산에 관한 전문성과 노하우가 부족하고 보존보다 개발 또는 관광자원화에 관심이 많아
세계유산의 체계적 보존관리와 활용을 위한 기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지자체에 대한 지도와 권고 및 자문 등 문화재청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관리단체 지정과 별도로 기업과 시민사회 및 지역사회 등 범국가적 범정부적 통합적 지원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반응형'내가 한 공부들 > 문화재관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번째 이야기, 백제역사유적지구 (0) 2022.08.31 17번째 이야기, 세계유산 등재 의미와 백제역사유적지구 (0) 2022.08.31 15번째 이야기, 세계유산의 개념과 등재 기준 (0) 2022.08.30 13번째 이야기, 지역 문화시설의 브랜드 마케팅 (0) 2022.07.29 12번째 이야기, 비영리 문화시설의 경영 (0)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