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문화재
문화재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문화 활동으로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로서 문화재보호법이 보호의 대상으로 정한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민속 문화재, 천연기념물, 사적, 명승지 따위를 이르는 말이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ㆍ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다음 각호의 것을 말한다.
1. 유형문화재: 건조물, 전적(典籍: 글과 그림을 기록하여 묶은 책),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ㆍ예술적 또는 학술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2. 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가. 전통적 공연ㆍ예술
나.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 기술
다. 한의약, 농경ㆍ어로 등에 관한 전통 지식
라. 구전 전통 및 표현
마.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바.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사. 전통적 놀이ㆍ축제 및 기예ㆍ무예
3. 기념물: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것
가. 절터, 옛 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ㆍ학술 가치가 큰 것
나. 경치 좋은 곳이고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다. 동물(그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를 포함한다), 식물(그 자생지를 포함한다),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ㆍ경관적 또는 학술 가치가 큰 것
4. 민속문화재: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 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것
문화재관리학
문화재관리학(Cultural Properties Management)이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문화재의 현대적 가치와 의미를 재발견하고, 미래지향적 문화재의 보존 및 활용방안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인문학 기반의 복합 사회과학 학문이다. 문화재 해석이 주된 순수 인문학 중심의 문화재학과 구분되어야 한다. 문화재관리학에서의 문화재는 문화재 보호법에서 규정한 대로 문화유산뿐만 아니라 자연유산, 비지정문화재, 무형문화재, 근대유산, 미래유산 등을 포함한다.
문화재관리학은 문화재 행정과 정책을 중심으로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에 이바지하는 것이 목표이다. 문화재를 단순히 보존하고 관리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하며 활용해야 한다는 국내외 추세에 따라 문화재의 보존·활용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 제시하여 전공자들이 문화재 보존관리 및 보호 활용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집대성하는 것을 목표로, 문화재 현장의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여 문화재 관리의 효용을 극대화하고, 문화재 관리학의 학술 진흥과 문화재관리 종사자들의 복리증진, 공동체의 지속할 수 있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다. 문화재 행정과 정책 중심의 학문적 위상을 가진 문화재관리학은 정체성의 확립과 학자들과 전문가들도 인정하는 학문적 시민권 취득도 목표로 한다.
문화재관리학은 문화재 행정, 문화재 정책, 문화재 법제, 문화경영을 중심으로 문화재 보존관리 및 보호 활용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융합해 이론과 방법론을 집대성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추구한다. 문화재의 원형보존, 체계적 관리, 효율적 활용에 관련된 정책기획과 행정관리, 법제 집행, 문화경영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고 체계화하여 문화재의 보존관리와 보호·활용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문화재관리학은 문화재 자체에 대한 해석도 중요하지만,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문화재에 관한 정책기획과 행정관리, 법제 진행, 문화경영 등을 총체적으로 아우르는 융합의 종합과학(복합학문)으로서 학문적 정체성과 시민권을 추구하고 있다.
문화재관리학의 세계적 추세는 정책학 및 행정학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및 경영학 분야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방향은 종래와 같이 단순한 문화재의 보수․정비 사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문화재의 예방적 관리와 문화재의 정보화, 문화재의 접근성 강화, 문화관광 및 문화상품의 연계를 통한 문화재의 지속할 수 있는 발전에 활용,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국제협력의 강화 등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다방면으로 문화재관리 전문 인력의 수요가 커지고 있어 이러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문화재관리학이 더욱 중요시되고 지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반응형'내가 한 공부들 > 문화재관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강 문화재 마케팅 (0) 2022.07.24 4강 문화재 경영 (0) 2022.07.24 3강 문화재 행정과 문화재 정책 (0) 2022.07.24 5강 문화재 마케팅 (0) 2022.07.23 2강 문화재보호의 기본원칙, 문화재 활용 원리와 방법 (0) 2022.07.23